본문 바로가기

구분없음

(146)
다시 하락 (#250524) 미국 증시 3대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에 50% 관세 부과로 위협해 다시 무역 전쟁 우려로 하락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아이폰에 25% 관세가 붙을 것이라 했다. 이날 테슬라를 비롯한 전기차도 하락했다. 이번 주는 다우·S&P500·나스닥 지수 모두 2% 이상의 낙폭을 기록했다.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발 무역 긴장의 최악 상황이 지난 것으로 기대했지만 다시 불붙고 있는 것이다. 최근 무디스가 재정적자 급증을 이유로 미국의 신용 등급을 하향한데 이어 미국 하원이 감세안을 통과시키자 미국 재정적자가 더욱 증가할 것이란 우려로 세계적으로 미국 채권 매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30년물 수익률은 한 때 5.1%까지 치솟았고 10년물 수익률도 4.5%를 돌파했다. 블룸버..
땡큐, 트럼프 (#250517) 미국 증시 주요 지수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지난 주말 스위스에서 열린 미중 협상 이후 S&P 500는 5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미국이 중국에 적용하는 관세는 145%에서 30%, 중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도 125%에서 10% 내렸다. 이 같은 호재로 주간 기준 다우지수 3.4%, S&P 500 5.3%, 나스닥 7.2% 상승을 보였다. 아직까지는 관세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큰 불확실성으로 남아있다. 골드만 삭스는 미중 무역긴장감이 완화되며 연말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 전망치를 4.5%으로 기존 4.0%보다 상향 조정했다. 위험자산 상승 속에 금값은 다소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월가의 공포지수(=변동성 지수 VIX)는 전장보다 3.37% 내린 17.23을 나타냈다. 미..
관망 (#250510) 미국 증시는 기대감과 경계심에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주말에 미국과 중국이 스위스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에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45% 관세 폭탄을 투하한 이후 처음이다. 첫 협상에서의 결과와 트럼프 반응이 불확실한 상황이다. 최근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영국과 첫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현재 미국은 우리나라와 일본, 인도, 이스라엘 등과 무역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번 주 연준은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를 연 4.25~4.5%로 3 연속 동결했다. 관세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를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외에도 연준 주요 인사들은 관세 부과로 올해 말부터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미국과 해외 모두 ..
착각 (#250503)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주식시장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사냥터에서 좋은 사냥꾼이 되려면 열심히 생각하고 매사에 신중해야 한다. 또 사물을 접할 때 모든 위험과 기회를 알아볼 줄 알아야 한다. 지금 미국 증시가 다시 랠리를 펼친다고 해서 빚투를 해야할 때인가? 내가 자주 틀려야 왔지만 지금부터 진짜 위기를 준비해야 할 때라 생각한다. 오늘 새벽 미국 뉴욕 증시 주요 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오늘까지 다우와 S&P500지수는 9거래일 연속 오름세다. 예상보다 강한 고용 지표와 관세 갈등의 완화 조심 덕이다. 4월 비농업부문의 고용이 3월 보다 감소했지만 최근 12개월 월평균보다는 웃돈다. 실업률도 4.2%로 3월 수준을 유지했다. 주간 기준으로 다우지수 3.0%, S&P..
데스크로스 (#250426) 미국 S&P 500은 4월 14일 데스크로스를 형성했다. 즉 단기 추세선인 50일 이동평균선이 장기 추세인 200일 이평선 밑으로 떨어졌다. 1928년 출범한 S&P 500이 데스크로스가 발생한 경우는 50회에 불과하다. 데스크로스는 증시가 단기적으로 오르기보다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CNBC에 따르면 울프리서치는 미국 경제가 둔화되면 S&P 500이 연초 대비 30~37% 하락한 3700~4100으로 추락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 경제가 침체로 향하고 기업 순익이 고관세 또는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약화하기 시작하면 증시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헤지펀드 대부로 불리는 레이 달리오가 설립한 브리지워터는 뉴스레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현대판 중상주의로 급격히 전환하며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미국발 위기 (#250419) 미국의 저명 경제학자 1명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경기 침체가 발생 가능성을 65%로 보고, 수십 년 만에 가장 큰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이 여러 국가와 무역 협상을 타결하더라도 어느 정도 높은 관세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을 밀어 올리고 경제는 둔화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미국이 마지막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던 시기는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은 미국의 주요 동맹과 수십 년 경제 관계를 단절함으로써 훨씬 더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만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로 타격을 입는 산업에 대해 보조금을 제공하게 되면 더 많은 재정 지출로 이어질 수 있고 관세의 혜택을 받은 미국 기업들은 외국 업..
변동 그 자체 (#250412) 최근 미국 증시를 보면 누가 장난을 치는 것 같다. 이 상황에 대해 세계 최대 자사운용사인 블랙록 CEO는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결국 미국 경제를 침체로 몰고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상호관세 발표 이후 증시가 폭락하고 90일 유예 발표에 폭등하고 또다시 폭락이 반복되었다. 잘 생각해 보면 사실 90일 유예는 오히려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높은 관세도 문제지만 부과와 철회가 반복되고 주먹구구식 관세율, 중국과의 대결 격화 등이 미국 정책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다. 최근 미국 증시 변동성은 팬데믹이나 2008년 금융위기와 버금가는 수준이다. 미국 월가에서 조차 주식, 채권, 원자재 가격 전망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관세정책이 미국 증시의 변동성을 키우며 변동..
베어마켓 (#250406) 뉴욕 증시가 이틀째 폭락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시장은 전고점 대비 20%이상 하락한 약세장(Bear market)에 빠져 들었다. 드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중국이 34% 보복관세를 매기면서 글로벌 무역전쟁 확산 공포가 다시 시작되었다.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완전히 빗나갔다. 미국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 지수(VIX)는 50.1% 급등하며 45.3까지 치솟았다. 2020년 4월 이후 5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급격한 시장 하락기에만 볼 수 있는 극단적인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을 절대 철회하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하자 증시 낙폭은 더욱 커지..